치환 혹은 전이
전이는 높은 수준의 죄책감이나 불안을 수반하는 충동에 대한 보편적인 방어기제입니다. 그 예시로 ‘프랑스에서 실업률이 최고에 달했을 때 고양이가 없었다.’라는 말은 소시민들이 자신을 실직시킨 대상에게 화풀이할 수 없기 때문에 아무 죄 없는 고양이에게 그 화를 풀어 살아남은 고양이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치환은 자신의 인물이나 목표 대신 바꿀 수 있는 다른 대상에게 에너지를 쏟는 방어기제로 위협적인 대상에서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불안정한 환경이나 상황에서 이러한 방어기제가 작용하기 쉽습니다. 가정에서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이나 자주 학대받은 사람이 가족에겐 사랑을 느끼지 못하지만 교사에겐 각별한 사랑을 쏟는 것이 그 예시입니다.
반동형성
반동형성은 자아가 때때로 반대 행동을 함으로써 오히려 금지된 충동이 표출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거나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동형성은 강박적이고 과장되고 엄격한 특징을 가진 행동 중이나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것에서 잘 나타납니다. 예로 흑인 여성에게 강한 성욕을 느끼는 백인 남성이 흑인 남성들은 타락한 성생황을 하고 성적으로 문란하다고 비난하는 것입니다. 반동형성은 두 가지 단계를 거치는데 첫째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을 억압하고, 둘째 그 반대적인 행동이 의식적 차원에서 표현됩니다.
철회
자신의 행동(상상 속의 행동 포함)과 욕구로 인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었다고 느낄 때, 그 피해적 행동을 중지하고 원상 복귀 시키려는 일종의 속죄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면 부인을 때린 남편이 꽃을 사다 주는 것이나 부정으로 번 돈의 일부를 자선사업에 쓰는 것입니다.
동일시
동일시는 다른 사람의 가치, 태도, 신념 등을 자신의 것으로 채택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특성이 자신의 성격에 흡수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동일시를 통해서 초자아가 형성됩니다. 성체성사에서 빵과 포도주를 함께 나누는 것도 동일시의 한 형태입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와 피와 몸을 나눔으로써 우리가 좀 더 예수와 닮고 싶어 하는 것입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성공적인 해결은 같은 성의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방어기제들의 복합적 작용
방어 기제들이 얼마나 욕구에 기반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예측, 해리, 신체화 등의 복잡한 방어기제들이 있습니다. 투사가 치환, 전이와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이 현상을 통해 자주 느낀 감정이 그 사람 자아의 정서로 굳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전이를 겪을 유사한 상황이 찾아오면 과거의 행동을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그는 자신이 느끼는 정서를 다 그 상황에 있는 타인들이 유발한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발리언트 범주
1단계 병적 범주
심각한 병적 수준의 방어기제입니다. 이러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사람은 타인에게 제정신이 아니거나 비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정신병적인 측면에서 병적인 방어기제이지만, 꿈을 꿀 때에도 혹은 유년기에도 이러한 방어기제가 흔히 보입니다. 이러한 방어기제들은 서로 동시에 나타나면서, 외부적 경험을 재정비하여 현실 세계를 대하는 욕구를 없애버립니다.
- 망상적 투사 : 보통 피해망상적인 것, 외적 현실에 대한 망상
- 자기부정 :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언급함으로써 이에 대하여 반대하는 입장은 없습니다. 매우 위협적이라서 외적 경험을 받아들이길 거부합니다. 의식적으로 알려고 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외적 현실의 불쾌한 부분을 인지함으로써 정서적 갈등을 해소하고 불안을 제거합니다.
- 왜곡 : 내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외적 현실을 기이하게 재구성합니다.
2단계 미성숙 범주
현실을 대하는 데 있어 미성숙하거나 어렵고 현실과 거의 소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남용하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에, 이 점에서 ‘미성숙’하다고 합니다. 성인에게 자주 보이는 방어기제입니다. 인격 장애나 중증 우울이 있는 사람에게 잘 보입니다. 고통스러운 현실이나 위협을 가하는 사람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완화합니다. 또한 현실을 제대로 대하는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 행동화 : 무의식 속에 있는 소원이나 충동을 행동으로 직접 드러내는 것을 말합니다.
- 건강염려증 : 심각한 질병이 생길 것에 대한 과도한 걱정이나 몰입을 의미합니다.
- 수동 공격성 행동 : 적대심의 간접적 표현입니다.
- 투사 : 편집증의 원초적 형태로서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지 못한 욕구나 충동을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않고 그대로 표현합니다. 받아들일 수 없거나 알지 못하는 원치 않는 생각이나 감정이 생긴 것에 대해 남 탓으로 돌립니다.
- 분열성 환상 : 내적 외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환상으로 후퇴하는 경향입니다.
3단계 신경증적 범주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어 보이지만, 외부 세계를 대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 방어기제로 사용하게 되면 업무, 행복한 삶, 대인관계에 있어서 장기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신경증으로 간주하지만 성인에게서 흔한 것입니다.
- 전위 : 감정을 보다 안전하게 배출합니다. 실제 대상으로부터 덜 공격적이고 위협적인 인물이나 대상에 강렬한 감정을 돌림으로써 감정을 분리하고 공포스럽거나 위협적인 것을 직접 대하지 않으려 합니다.
- 해리 : 상황이나 사고를 수반하는 감정을 느끼는 것을 뒤로 미루거나 감정을 자신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지화 : 소외하는 방식으로 상황에 대한 이성적 요소에만 집중하여 불안을 유발하는 감정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입니다. 사고로부터 감정을 분리합니다.
- 반동형성 :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못하거나 위험한 무의식적인 충동이나 바람을 정반대의 것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자신이 실제로 원하거나 느끼고 있는 것과는 정반대의 행동을 합니다.
- 퇴행 : 즐거움을 주는 본능에 대한 욕구를 몰아내려 합니다.
4단계 성숙 범주
정서가 건강한 성인에게서 보입니다. 유쾌함과 절제력을 높입니다. 의식적 과정이자 수년 동안 적응하여 사회활동과 인간관계에서의 성공을 극대화합니다.
- 이타심
- 예측
- 유머
- 승화 : 무익한 감정이나 본능을 건강한 감정, 사고, 행동으로 고칩니다.
- 억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칵테일 파티 효과란? (0) | 2022.06.25 |
---|---|
바넘 효과란? (0) | 2022.06.25 |
방어기제란? (0) | 2022.06.24 |
조작적 조건화란? (0) | 2022.06.24 |
고전적 조건형성이란? (0) | 2022.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