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동적 조건화 또는 도구적 조건화라고도 불리며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합니다.
스키너 상자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 상자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빈 상자 안에 지렛대가 하나 들어 있으며, 이 지렛대는 먹이통과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게 되어 있는데 이 상자를 가지고 조작적 조건형성을 실험했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배고픈 상태의 쥐를 스키너 상자에 넣는다.
2. 쥐는 스키너 상자 안에서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르게 된다.
3. 지렛대를 누르자 먹이가 나온다.
4. 지렛대와 먹이 간의 상관관계를 알지 못하는 쥐는 다시 상자 안을 돌아다닌다.
5. 다시 지렛대를 누른 쥐는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된다.
6.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것을 학습하게 된다.
이렇게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라고 합니다. 위의 실험에서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된 것입니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자극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조건화의 과정에서 부여하는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입니다.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강화는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선호 자극의 제공뿐 아니라 혐오자극의 제거로도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는데, 선호 자극의 제공으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정적 강화라고 하고 혐오자극의 제거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부적 강화라고 합니다.
부적 강화는 혐오자극의 제거로 유기체를 강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적 강화에 대한 예로 화장실 청소를 하게 되어 있는 학생에게 '오늘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면 화장실 청소를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이야기하면 학생이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였다면, 화장실 청소라는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도록 하는 행동을 증가시킨 것이 됩니다. 이처럼 부적 강화도 정적 강화처럼 결과적으로 유기체가 유리하다고 느끼게끔 하는 것이지만 선호 자극을 제공하지 않고 혐오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 강화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면에 정적 강화는 선호 자극의 제공으로 유기체를 강화합니다. 정적 강화의 예시로 교사가 학생들의 발표를 유도하기 위해 발표할 때마다 추가점수를 제공하거나 간식을 하나씩 주는 것은 정적 강화의 예가 되는데, 여기서는 발표라는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기 위해 추가점수나 간식이라는 선호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을 강화한 것이 됩니다.
강화이론
스키너는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한 결과가 자신에게 유리하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이때 그 행동의 결과로 주어진 것으로 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자극을 강화인이라고 하는데, 이런 강화인은 일차적 강화인과 이차적 강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이차적 강화인 유기체의 행동을 바로 증가시키지 못합니다. 하지만 일차적 강화인과 연합하여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쿠폰이나 토큰 등이 이에 해당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돈입니다. 돈은 여러 종류의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된 강화인이라고도 불립니다. 즉, 쿠폰이나 토큰으로 유기체를 강화할 수 있지만 그것은 유기체를 직접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강화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일차적 강화인은 유기체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강화인 입니다. 예를 들면 음식이나 물과 같은 것이 되겠는데, 당장 배고픈 유기체에 음식으로 만족을 주는 것으로써 바로 다음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어려운 용어들로 설명되어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장을 보고 쇼핑하는 모든 것들이 강화인이라고 생각한다면 훨씬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
어떤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혐오자극을 제공하거나 선호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행동의 빈도수를 감소시킵니다. 이렇게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강화와 대비되는 것이 약화(벌) 입니다.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약화는 박탈성 약화라고 합니다. 박탈성 약화는 그동안 받아오던 강화인을 제거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박탈성 약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타임아웃'이 있습니다. 타임아웃이란 어떤 학생이 교실에서 시끄럽게 떠드는 경우 그 학생을 일시적으로 교실 밖으로 추방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하면 학생에게서 공부할 기회와 친구들과 같은 공간에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것으로 혐오자극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 자극을 제거하는 박탈성 약화에 해당합니다.
반면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수여성 약화라고 하는데, 수여서 약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체벌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체벌을 가함으로써 그 행동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처럼 약화(벌)는 유기체 행동의 결과로 어떤 선호 자극을 제거하거나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처벌을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
처벌을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유기체가 스스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기는 행동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처벌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유기체는 그 행동이 틀린 행동이 아닐 수 있다고 믿는 것입니다. 처벌에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처벌받은 유기체는 다른 유기체에 공격적인 행동을 자주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처벌의 부작용은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어 기제의 유형에 대한 설명 (0) | 2022.06.24 |
---|---|
방어기제란? (0) | 2022.06.24 |
고전적 조건형성이란? (0) | 2022.06.24 |
정신분석학이란? (0) | 2022.06.24 |
자아 (0) | 2022.06.23 |
댓글